전체 글 (87) 썸네일형 리스트형 항해 99 - 2023.02.16 TIL 매 주 목요일은 한 주 학습 주제에 대한 퀴즈를 풀고 한 주를 마무리하는 날이다. 오늘로 스프링 숙련 주차를 마치게 되었다. 퀴즈의 난이도는 그다지 어렵진 않았지만, 가장 어렵게 느껴졌던 JPA 상관관계가 나와서 많이 헷갈렸다. JPA 상관관계가 계속 정리가 잘 되지 않는 느낌이라, 상관관계와 외래키에 대해서 공부하고, 내용을 정리하여 블로그에 포스팅 했다. https://9401ndk.tistory.com/49 Spring Boot - JPA 연관관계 JPA 연관관계가 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따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Foreign Key (외래키) 우선적으로 외래키의 의미와 기능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아 개념을 학습했다. https://bru 9401ndk.tistory.com 숙.. Spring Boot - JPA 연관관계 JPA 연관관계가 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따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Foreign Key (외래키)우선적으로 외래키의 의미와 기능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아 개념을 학습했다. https://brunch.co.kr/@dan-kim/26 19화 19. 외래키 이해하기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키 (Foreign Key)는 왜 필요할까? | 배경 지난 기본키 이해하기 글에서는 하나의 테이블에 중복된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본키 제한조건에 대해서 배웠습brunch.co.kr외래키에 대해 공부하고 요약한 바는 다음과 같다.만약 두 개의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해보자.각자의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연결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면, 다른 테이블의 고유한 값인 기본키를 .. 항해 99 - 2023.02.15 TIL 며칠동안 TIL 작성에 소홀했던 것 같다. 숙련 주차에 진행하는 작업들이 익숙하지 않고, 아직도 헷갈리는 부분이 많아 학습에 좀 더 매진했던 것 같다. 지금은 숙련주차 lv3 과제까지 거의 완료한 상태이지만, 리팩토링과 예외처리 부분이 부족한 점이 있어 수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동안 학습을 진행하면서 어려웠던 점이나, 에러를 해결하였던 과정에 대해서 회고해보고자 한다. JPA 연관관계 설정, StackOverFlow 이번 주차부터 JPA 의 연관관계 설정을 이용하여 엔티티간 관계를 설정해주는 작업을 진행했다. 다대일 양방향 연관관계를 엔티티 간에 맺어주면서, 해당 객체들을 직렬화할 때 연관관계가 맺어진 객체들이 서로를 무한 참조를 하게 되어 StackOverFlow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구글링 해보니,.. 항해 99 - 2023.02.09 TIL 오늘부터는 주특기 숙련 주차에 진입했다. Spring Data JPA를 사용하지 않고, JPA를 사용하는 방법과 지난 주에 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네이버 오픈 API를 사용해보았다. Spring Data JPA가 없이 사용하는 JPA Spring Data JPA를 사용할 때는 Entity 클래스에 값을 넣고, 바로 save(), find() 등 바로 DB에 쿼리를 쏠 수 있었다. Spring Data JPA를 사용하지 않으면, EntityManager와 그것을 생성할 EntityManagerFactory가 필요하다. find 함수를 실행하기 까지의 과정 // EntityManager를 생성해줄 EntityManagerFactory를 만든다.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 Spring Boot - 자주 쓰는 Annotation 정리 Annotation 자바에서 Annotation은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쓰이며 특별한 의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메타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어노테이션 참고 블로그 https://sddev.tistory.com/225 [Spring Boot] 어노테이션 정리 SpringBoot란? Spring에서는 이러한 설정들을 자동화해주는 SpringBoot라는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Spring에서 SpringBoot라는 프레임워크를 내놓기 시작하면서 SpringBoot의 AutoConfigure(자동 구성) 기능을 통해 sddev.tistory.com 2월 초부터 Spring Boot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하면서 보았던 Annotation들에 대해서 정리해.. 항해 99 - 2023.02.07 TIL 저번주에 이어서 스프링 과제를 계속 진행했다.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들어오고, 계층별로 처리하는 과정을 머릿 속으로 그리면서 CRUD 기능을 하나하나씩 구현해보았다. 어노테이션들의 기능들을 모두 알 수는 없기때문에, 지금은 큰 그림을 그리면서 세부적인 내용들을 채워나가고자 했다. Postman 이라는 API test 툴을 사용해서, 프론트 단 없이도 현재 작업 중인 API가 잘 작동하는지 테스트해볼 수 있었다. Postman My Workspace 탭에서 좌측 상단 New > HTTP Request 를 누르면 HTTP 통신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Method를 지정할 수 있고, 내가 원하는 Request를 보내서 서버가 제대로 응답하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프로젝트에서 보통 백엔드 쪽이 먼저 완성이 되.. 항해 99 - 2023.02.03 TIL 주특기 입문 주차가 시작되어 드디어 Spring을 배우기 시작했다. Spring Boot로 시작하게 되었는데, 긴장했던 것 보다 세팅에 드는 시간이 들지 않았다. 강의를 들으면서 여러가지 의문이 생겼지만, 그 중에서도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개념들에 대해서 회고해보고자 한다.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주고 받는 규칙 HTTP message 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HTTP message Start line - 항상 첫번째 줄에 위치하며, 요청 또는 요청 수행에 대한 결과가 명시된다. HTTP headers : 요청에 대한 설명, 메시지 본문에 대한 설명이 들어간다. Body : 요청에 관련된 내용이나, 응답에 관련된 본문이 들어간다. Startline 과 HTTP header를 묶어 head 라 부.. 항해 99 - 2023.02.01 TIL 항해99를 시작하니 시간이 훌쩍훌쩍 지나가는 것 같다. 시작일이 1월 8일이였는데, 어느덧 2월의 첫 날이다. 오늘도 어제에 이어서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진행했다. 체육복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